티스토리 뷰
ISSUE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힘내자김부장 2024. 11. 27.

장애인들은 만성 질환 관리 및 장애 관련 건강 문제에 있어 더욱 세심한 의료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의료기관 접근성이 낮거나, 경제적 부담 등으로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장애인들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는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이란?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은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및 장애 관련 건강 문제지속적이고 포괄적으로 관리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장애인의 건강 유지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에는 병원 방문 시마다 새로운 의사를 만나야 했지만, 이 사업에서는 '나만의 주치의'를 지정하여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누가 지원받을 수 있나요?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의 지원 대상은 크게 두 가지 기준을 충족하는 중증 장애인입니다.

  • 법적 중증장애인: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제16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5조에 따라 규정된 중증장애인이어야 합니다.
  • 장애인 주치의 설명회 참석: 주치의가 소속된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사업 설명회에 참석하여 사업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 제2항) 또한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예산 및 자원의 한계로 인해 모든 중증 장애인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선정 기준을 통해 우선순위가 부여됩니다.

  • 건강 상태의 중증도: 건강 상태가 심각하거나 만성질환 관리가 시급한 경우 우선적으로 선정됩니다.
  • 의료 접근성: 의료 접근성이 낮아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어려운 장애인들이 우선 지원 대상이 됩니다.
  • 개별 건강 상태에 따른 서비스 필요성: 특정 장애와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주치의의 지원이 필요한 장애인을 선별합니다.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장애인 건강주치의는 개인별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 유형 대상 관리 범위 대상 기관 주치의 서비스

일반건강관리 모든 장애 유형별 중증/경증 장애인 만성 질환 등 전반적 건강 관리 의원 의사 포괄 평가 및 계획 수립, 중간 점검, 교육/상담, 환자 관리, 방문 진료/방문 간호, 검진 바우처
주장애관리 지체/뇌병변/시각/지적/정신/자폐성 장애 중증 장애인 전문적 장애 관리 의원/병원/정신병원/종합병원/일부 상급종합병원(요양병원 제외) 주장애 유형별 전문의 -
통합관리 지체/뇌병변/시각/지적/정신/자폐성 장애 중증 장애인 일반 건강 관리와 주장애 관리 의원 주장애 유형별 전문의 검진 바우처
  • 포괄 평가 및 계획 수립: 장애인의 만성질환 또는 장애 관련 건강 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간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종합 계획서를 제공합니다.
  • 중간 점검: 장애인 포괄 평가 및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상담 등 서비스 제공 후 포괄 평가에 대한 중간 점검이 필요할 경우 실시합니다.
  • 교육/상담: 장애인의 질병이나 장애로 인한 여러 문제를 이해시키고, 자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교육/상담 매뉴얼에 따라 건강 주치의가 1대 1 대면으로 장애인과 최소 10분 이상 교육/상담을 제공합니다.
  • 환자 관리: 거동 불편 등 사유로 내원이 어려운 경우 건강 주치의가 장애인에게 전화로 환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방문 서비스: 거동 불편 등 사유로 내원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건강 주치의나 간호사가 방문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맞춤형 검진 바우처: 「장애인 건강 주치의 시범사업」에 참여(일반 건강 관리 또는 통합 관리)하는 고혈압/당뇨병 환자에 대한 맞춤형 검진 바우처를 제공하여 진료와 연계한 효율적인 만성 질환 관리를 통해 합병증 예방을 지원합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방문: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장애인 건강주치의 의료기관 찾기' 메뉴를 통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건강iN > 검진기관/병원 찾기 > 병(의)원 정보 > 장애인 건강주치의 의료기관 찾기

 

의료기관 방문 및 신청: 선택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건강 주치의에게 서비스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이때 개인정보 수집 및 제공 동의서이용 신청/변경 사실 통지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 과정에서 주치의는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필요 서비스를 파악하여 구체적인 건강 관리 계획을 수립합니다.

 

 

 

관련 Q&A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Q: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이란 무엇인가요?

A: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은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및 장애 관련 건강 문제를 지속적, 포괄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장애인의 건강 유지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쉽게 말해, 나만의 주치의를 통해 꾸준히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Q: 누가 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A:「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제16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5조에 따라 규정된 중증장애인, 그리고 주치의가 소속된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사업 설명회에 참석한 장애인이 지원 대상입니다.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도 포함됩니다.

 

Q: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A: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장애인 건강주치의 의료기관을 검색한 후 해당 기관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건강 주치의에게 서비스 이용 신청서, 개인정보 수집 및 제공 동의서, 이용 신청/변경 사실 통지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Q: 방문 진료가 제공되나요?

A: 네, 병원 방문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을 위해 필요시 방문 진료가 제공됩니다. 거동이 불편한 경우, 건강 주치의나 간호사가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결론

장벽 없는 건강관리!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은 장애인의 건강 관리 접근성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사업입니다.

장점

  • 개별 맞춤형 건강 관리: 장애인의 개별 상태에 맞춘 건강 관리가 가능해져 장애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만성질환 및 장애 관련 건강 문제 통합 관리: 만성 질환뿐만 아니라 장애 관련 건강 문제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강화: 전화 상담 및 방문 진료를 통해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여줍니다. 특히 방문 진료는 병원에 방문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 지속적인 건강 관리: 주기적인 건강 관리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을 장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개선할 점

  • 서비스 가능 의료기관 확대: 서비스 가능 의료기관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 특정 지역에서는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합니다.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더 많은 장애인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신청 절차 간소화: 신청 절차가 다소 복잡하여, 특히 고령자나 정보 접근성이 낮은 장애인에게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를 간소화하고 장애인 지원을 위한 안내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서비스 항목 다양화: 서비스 항목의 다양화를 통해 개별 장애 유형에 맞춘 보다 세분화된 건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장애 유형별 상담 및 건강 문제별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은 앞으로 더욱 발전하여 더 많은 장애인들이 혜택을 누리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